숙박 무주군에 위치한 숙박을 쉽고 편하게 예약하세요. 가맹점 정보입력 글 작성시 필수 표시된 항목은 꼭 기재해 주세요 가맹점 정보입력 - 카테고리, 입출력형태, 자원종류, 명칭, 주소, 전화, 홈페이지, 주차시설, 부대시설, 장애인 편의시설, 외국어 안내, 교통정보, 찾아오시는 길 등의 가맹점 정보를 입력하는 테이블입니다. 카테고리 선택 식당 공공숙박 민간숙박 공공캠핑 민간캠핑 공공체험 민간체험 시설 식당 전체 모범음식점 맛집 명칭 필수 주소 필수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차시설 부대시설 장애인 편의시설 외국인 안내 유모차 대여 가능 불가 애완동물동반 여부 가능 불가 예약 타입 전화예약 온라인사이트 온라인예약 예약 전화번호 예약 URL 상세정보 구천동에 소재한 백련사 일주문 옆 부도군(浮屠群)에 있는 매월당(梅月堂) 설흔법사(雪欣法師)의 승탑(僧塔)이다. 정조 8년(1784)에 세운 석종형탑으로 대석의 높이가 0.3m, 둘레 3.9m의 원형으로 상두면(上頭面)에 복연(伏蓮)을 둘러 연화대좌로 조형했고, 그 위의 탑신은 전형적인 종형으로 높이 1.6m, 둘레 2.8m이다. 탑신의 상륜부(相輪部)에 보륜(寶輪)을 두른 후 그 윗부분에 유두형(乳頭形) 보주(寶珠)를 조각했는데, 보주의 상두면에 연화문(蓮花紋)을 양각해 놓았고, 보륜 아래 탑견(塔肩)에도 화려한 연화문을 둘러 세련미를 주고 있다. 탑신에는 ‘매월당 설흔지탑’이라는 탑명(塔銘)이 있고, 그 옆에 ‘건융갑진삼월 일(乾隆甲辰三月 日) 생질(甥姪) 임선행(林善行) 건(建)이라고 각자되어 있다. 따라서 부도는 매월당이라는 호를 가진 설흔 스님의 부도로 정조 8년(1784) 3월, 그의 조카 임선행에 의해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적상산 안국사의 극락전 후불탱화(後佛幀畵) 하단을 보면,3) 매월당 설흔은 영조 48년(1772) 안국사 후불탱화 조성에 참여하였고, 그 뒤 12년 뒤인 정조 8년(1784) 구천동 백련사에서 입적(入寂)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사람들은 부도에 각자된 간지는 보지 못하고, 매월당이라는 탑명만을 보고 생육신(生六臣) 중의 하나인 매월당 김시습(金時習)으로 오인(誤認)하기도 하였다. 이는 김시습의 법명 설잠(雪岑)과 설흔의 혼동이 가중되어 더욱 그런 오해를 낳았던 것이다. 교통정보 무주읍내(38Km)- 구천동 (국도 37호) : 버스편 40분소요 구천동(6Km) - 백련사 : 도보 1시간 30분소요 사진등록 첨부파일명 : 백련사 매월당부도.png 유지 삭제 첨부파일1 첨부파일2 첨부파일3 첨부파일4 첨부파일5 첨부파일6 첨부파일7 첨부파일8 첨부파일9 첨부파일10 저장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