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아름다운 별이 함께 하는 무주 반딧별 천문과학관 아름다운 별나라를 체험하고 감동을 전해드립니다.
이용안내

공지사항

이용안내 공지사항  
작성일 2013.12.01, 조회수 349
공지사항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정보 제공
제목 12월 관측대상 안내
내용
[12월 관측대상 안내]

야간관측시간에 아래의 모든 관측대상을 보는 것이 아니라 일부를 선택해서 보게 됩니다.

날씨와 달빛등의 여건에 따라 관측대상은 관측예정일이라도 변경될 수 있습니다.

 

1. 달

지구주변을 공전하고 있는 달은 매일 위치가 바뀌기 때문에 한 달 중 관측시간에 볼 수 있는 때는 약 10일 정도가 됩니다.

 

12월 야간 1차 시간(19:00~20:00)에는 6일부터 18일까지, 야간 2차 시간(20:00~21:00)에는 7일부터 19일까지 관측할 수 있습니다.

 
달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 상단 메뉴 "우주의 신비" 의 달 항목(http://star.muju.go.kr/bandistar/space/menu03/moon/moon.htm)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가지 알아두실 점은 달이 밝은 날일수록 행성들을 제외한 다른 천체들은

달빛에 묻히기 때문에 제대로 보이지 않게 됩니다.

 

2. 목성 (Jupiter)

행성들은 태양주변을 각기 다른 속도로 공전하고 있기 때문에, 보이는 시기가 매년 계속 틀려지게 됩니다.

요즘 시기에는 초저녁에 금성이 서쪽하늘에 나타나지만, 관측시간에는 이미 져버리기 때문에 보기가 힘듭니다.

 

대신 12월 말부터는 목성이 천천히 올라오고 있기때문에 관측이 가능합니다.

 

12월 야간 1차 시간(19:00~20:00)에는 24일부터 31일까지,

야간 2차 시간(20:00~21:00)에는 20일부터 31일까지 관측예정 입니다.

 

목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 상단 메뉴 "우주의 신비" 의 목성 항목(https://star.muju.go.kr/bandistar/space/menu03/jup/jup.htm)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 Albireo(백조자리 β별)

 

Albireo는 아랍어로 "부리"라는 뜻이며, 이 별은 백조자리의 부리부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을 얻었습니다.

이 두 별은 맨눈으로는 두 개로 보이지 않지만, 망원경 안에서는 두 별이 살짝 떨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알비레오는 밝은 이중성들 중에서도 색이 완전히 다른 두 별이 놓여있기에 유명합니다.

 

밝은 항성이기 때문에, 달이 있을때도 잘 보이며, 달이 없는 날에는 다른 희미한 관측대상을 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알비레오는 대체적으로 달의 관측기간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4. M15 (페가서스자리 구상성단)

우주 초창기에 은하계가 형성될때 생겨난 구상성단들은 수십만개의 별들이 구형으로 뭉쳐 보이는 대상들입니다.

M15는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페가서스 자리의 앞부분에 위치한 아주 밀도가 높은 구상성단입니다.

 

12월 중 관측 예정일은

야간 1차관측시간(19:00~20:00)에는 12월 1일~5일/12월 19일~30일

야간 2차관측시간(20:00~21:00)에는 12월 1일~6일 입니다.

 

M15에 대한 정보는 홈페이지 상단 메뉴 "우주의 신비" 의 성단 항목(http://star.muju.go.kr/bandistar/space/menu02/star_cluster/star_cluster.htm) 메뉴에서 옆에 대상들 중 조금 내려가셔서 구상성단 항목에 있는 M15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5. M42 (오리온 대성운)

우주 공간속에는 별들만 있는 것이 아니라 별을 만들어내는 재료인 기체들도 여기저기에 퍼져 있습니다. 그런 기체들은 대부분은 보기가 힘들지만, 때론 스스로 빛을 내거나 주변의 별빛을 반사하거나, 아니면 밝은 배경에 대해 어둡게 보여 그 모습을 판별할 수 있는 것들도 있습니다. 이런 천체들을 "성운" 이라고 부르는데, 이런 성운들 중에서 맨눈으로도 볼 수 있을 정도로 밝은 성운 중 하나가 오리온 대성운 입니다.

 

성운 내부의 별의 에너지 때문에 스스로 빛을 내고 있는 오리온 대성운은 겨울 별자리인 오리온 자리에 있기 때문에 조금 늦게 나타나기 때문에 12월 중에는 야간 2차시간에만 20일~31일에 관측할 예정입니다.

 

M42에 대한 정보는 홈페이지 상단 메뉴 "우주의 신비" 의 성운 항목(https://star.muju.go.kr/bandistar/space/menu02/nebula/nebula.htm) 메뉴에서 옆에서 오리온 대성운 M42 항목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6. M45 (플레이아데스 성단)

현재의 우주속에서는 대부분의 별들이 생겨났기 때문에, 새로운 별들은 별들이 사라지게 되면서 퍼지는 가스들이 다시 뭉쳐지면서 생기게 됩니다.이때, 은하의 나선팔과 중심부분들에는 많은 가스들이 모일수가 있고, 여기서 별들이 한꺼번에 많이 태어나면서 성단을 이루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성단들은 우주초창기에 생긴 성단과는 다르게 별의 밀도가 좀 낮고, 망원경 안에서 퍼져있듯이 보이기 때문에 산개성단이라고 불립니다.

 

이런 산개성단들 중에서 맨눈으로 보일정도로 거대한 성단이 황소자리에 있는 플레이아데스 성단입니다. 겨울철 별자리들 중에서 일찍 올라오는 황소자리에 있기때문에 M45는 12월 내내 볼 수 있습니다.

 

M45에 대한 정보는 홈페이지 상단 메뉴 "우주의 신비" 의 성단 항목(http://star.muju.go.kr/bandistar/space/menu02/star_cluster/star_cluster.htm) 메뉴에서 옆에 대상들 중 산개성단 항목에 있는 M45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7. 이중성단(NGC869 & NGC884)

페르세우스 자리에 있는 두 개의 산개성단인 이중성단은, 날씨가 좋은 날에는 맨눈으로도 희미하게 보이기 때문에, 천체망원경으로 관측하기 전에는 별로 인식(페르세우스 자리 h별/χ별)되었던 대상들 입니다.

 

12월 중 관측예정일은

야간 1차관측시간에 12월 1일~5일/12월 19일~22일 입니다.

 
이중성단에 대한 정보는 홈페이지 내 우주의 신비항목 중 성단(http://star.muju.go.kr/bandistar/space/menu02/star_cluster/star_cluster.htm) 메뉴에서 이중성단 항목을 찾으시면 됩니다.
파일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오류신고

만족도 조사

담당부서 정보

  • 담당자박제훈
  • 담당부서반디휴양
  • 전화번호063-320-5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