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아름다운 별이 함께 하는 무주 반딧별 천문과학관 아름다운 별나라를 체험하고 감동을 전해드립니다.
이용안내

공지사항

이용안내 공지사항  
작성일 2013.07.03, 조회수 546
공지사항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정보 제공
제목 7월 관측대상 안내
내용

[야간관측시간에 아래의 모든 관측대상을 보는 것이 아니라 일부를 선택해서 보게 됩니다.]

[날씨와 달빛, 천체의 고도등에 의해서 관측대상은 당일 바뀔 수 있습니다]




달은 지구주변을 공전하기 때문에 매일 하늘에서 보이는 위치가 바뀌게 됩니다.

때문에 언제나 관측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볼 수 있는 날짜가 제한되어 있습니다.


아래의 도표는 7월 야간관측시간에 따른 달의 고도변화를 표시해봤습니다.


최소한 고도 15도 이상 원할하게 보기 위해선 고도20도 이상 올라와야 하기에


야간 1차(저녁 8시~9시)에는 12일 ~ 21일/ 야간 2차(저녁 9시~10시)에는 14일 ~ 24일

의 기간 동안 달 관측이 가능합니다.


달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 내 우주의 신비의 달 항목(http://star.muju.go.kr/bandistar/space/menu03/moon/moon.htm)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가지 알아두실 점은 달이 밝은 날일수록 행성들을 제외한 다른 천체들은

달빛에 묻히기 때문에 제대로 보이지 않게 됩니다.





토성

지난 6월동안 한껏 높이 올라왔던 토성은 이제 7월 동안 점점 내려가서 8월달 부터는 관측시간동안에 보기가 힘들어집니다

7월 한달간은 31일 야간 2차 시간을 제외하고는 보는데 커다란 무리는 없습니다.


아래 그림은 7월 중 8시를 기준으로 토성의 고도 변화와 별자리내의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고도는 점점 떨어지고 있지만, 위치는 6월 중에는 처녀자리 카파별로 접근하던 토성이 이제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토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 내 우주의 신비의 토성 항목(http://star.muju.go.kr/bandistar/space/menu03/sat/sat.htm)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Albireo

이제 초저녁에 동쪽하늘에 여름별자리들이 올라오면서, 백조자리에 있는 멋진 이중성인 Albireo를 관측할 수 있게 됩니다. 아랍어로 부리라는 뜻을 가진 이 별은 백조자리의 부리부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을 얻었습니다.


이 두 별은 맨눈으로는 두 개로 보이지 않지만, 망원경 안에서는 두 별이 살짝 떨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알비레오는 밝은 이중성들 중에서도 색이 완전히 다른 두 별이 놓여있기에 유명합니다.


아래는 알비레오의 위치와 그 모습입니다. 알비레오는 7월 중 내내 계속 관측가능한 대상입니다.



M3 (사냥개자리 구상성단)

우주 초창기에 은하계가 형성될때 생겨난 구상성단들은 수십만개의 별들이 구형으로 뭉쳐 보이는 대상들입니다.

사냥개자리 구상성단인 M3은 구상성단들 중에서는 젊은 축에 속하는 구상성단입니다.


7월 관측예정일은 야간 1차에는 23일~26일, 야간 2차에는 2일~7일, 25일입니다.


M3에 대한 정보는 홈페이지 내 우주의 신비항목 중 성단(http://star.muju.go.kr/bandistar/space/menu02/star_cluster/star_cluster.htm) 메뉴에서 옆에 대상들 중 구상성단 M3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아래 그림은 M3의 위치입니다.




M5 (뱀자리 구상성단)

뱀자리에 있는 구상성단인 M5의 7월 중 관측예정일은


야간 1차 2일~11일(8일 휴관일), 27일~31일(29일 휴관일)

야간 2차 9일~13일, 26일~31일(29일 휴관일) 입니다.


아래 그림은 M5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달이없는 밤 날씨가 좋다면 시력이 좋으신 분들은

맨눈으로도 뭔가 희미하게 있다 라고 찾으실 수도 있습니다.


M5에 대한 정보는 홈페이지 내 우주의 신비항목 중 성단(http://star.muju.go.kr/bandistar/space/menu02/star_cluster/star_cluster.htm) 메뉴에서 옆에 대상들 중 구상성단 M5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M57 (고리성운)

태양정도의 질량을 가진 별들은 나중에 자신의 에너지를 다 내고 난 후 사라져갈 때,

외각의 가스층이 엄청나게 팽창한 적색거성이 되었다가, 팽창한 외각층은 우주공간으로 퍼져나가면서

작은 구체처럼 보이는 성운들을 만들게 됩니다.


작은 구경의 망원경으로 봤을때 이런 성운들은 행성처럼 보인다고 하여 "행성상성운"이라는 분류가 붙어있습니다.

행성상성운중에서 비교적 우리에게 가까운 거리에서 있어서 밝고, 멋진 모습을 보여주는 M57은 그 독특한 모습으로 인해

고리성운이라는 별칭이 붙어있습니다. 


7월 중 관측예정일은 야간 1차  2일~7일, 25일~31일(29일 휴관일)/ 야간 2차 2일~7일 입니다.


M57에 대한 정보는 홈페이지 내 우주의 신비항목 중 성운(http://star.9is.kr/bandistar/space/menu02/nebula/nebula.htm 메뉴에서 왼쪽에 있는 대상들중 [행성상성운->고리성운 M57] 항목을 찾으시면 되겠습니다.


성운들은 맨눈으로는 보기에는 상당히 어렵고 망원경 안에서만 보이지만,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M27 (아령성운)

역시 행성상성운중 하나인 아령성운은 망원경 안에서 가운데가 오목한 독특한 모습때문에 아령이라는 별칭이 있습니다.

다만 우리나라 한정으로 많은 아마추어 관측가분들은 '먹다버린 사과'라는 표현을 많이 이용합니다.


아령성운은 고리성운보다 조금 더 늦게 뜨는 백조자리 앞의 작은여우자리에 들어있는 성운입니다.

7월중 관측예정일은 야간 1차에는 없으며 야간 2차에는 30일~31일입니다.


M57에 대한 정보는 홈페이지 내 우주의 신비항목 중 성운(http://star.9is.kr/bandistar/space/menu02/nebula/nebula.htm 메뉴에서 왼쪽에 있는 대상들중 [행성상성운->아령성운 M27] 항목을 찾으시면 되겠습니다.


아령성운 역시 맨눈으로 보이진 않지만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파일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오류신고

만족도 조사

담당부서 정보

  • 담당자박제훈
  • 담당부서반디휴양
  • 전화번호063-320-5683